미디어

MEDIA

게시판 내용
"자율주행이 새 먹거리"…통신사, 차세대 교통시스템 수주戰
조회수 : 984   |   2020-09-08

광주시·울산시 커넥티드카
인프라 구축 사업에 3社 참전

 

5세대(5G) 이동통신을 상용화한 통신 3사의 새 먹거리로 자율주행 통신인프라 분야가 떠올랐다. 통신 3사는 국토교통부가 광주시, 울산시와 함께 진행 중인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(C-ITS) 구축 사업 입찰에 뛰어들어 치열한 수주 경쟁을 벌이고 있다. 

 

https://img.hankyung.com/photo/201912/AA.21136948.1.jpg

 

자율주행 인프라는 새 먹거리


C-ITS는 차량과 차량, 차량과 도로 간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만든 도로 인프라다. 신호등 등 교통체계를 중앙에서 관제하거나 폐쇄회로TV(CCTV) 등을 통해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.

 

이를 이용한 광주시와 울산시의 커넥티드카 인프라 구축 사업 등에는 향후 3년간 각각 230억원, 240억원 규모의 예산이 들어간다. 국토부는 2027년까지 자율주행차 핵심부품(시스템·부품·통신) 분야에 1조7000억원에 이르는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.

국토부는 이미 서울과 제주에서 C-ITS 사업자를 선정해 사업을 하고 있다. 서울에선 SK텔레콤이 상암 등에 인프라를 구축했다. 제주에서는 KT가 사업을 맡았다. KT는 제주에서 렌터카 3000대에 C-ITS 단말을 설치해 교통정보를 실시간 전달하고 있다. 또 완전자율주행이 가능한 스포츠유틸리티차량(SUV) 두 대도 운행 중이다.

통신 3사에 광주와 울산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. 두 지역 모두 사업 규모가 큰 데다 울산은 화물 등 물류 중심지라는 상징성도 있다. 통신사 각각의 사정도 있다. KT는 가장 먼저 제주에서 사업권을 따냈지만, 최대 규모인 서울 지역을 SK텔레콤이 가져갔다. LG유플러스는 아직 C-ITS 사업지역이 없어 이번에 광주와 울산 중 한 군데의 구축 사업이라도 따내는 게 급선무다.

국토부가 추진 중인 사업 외에도 지방자치단체별 자율주행 테스트베드도 운영되고 있다. 대표적인 게 세종시의 규제 자율특구다. KT와 LG유플러스는 세종시에서 자율주행 셔틀 실증사업을 하고 있다. 내년에는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상용화하는 게 목표다. 경기 성남시 판교의 ‘제로 시티’와 대구의 ‘테크노폴리스’에는 KT, 경기 화성 알파시티에는 통신 3사가 모두 참여했다.

 


“통신이 자율주행 상용화 앞당겨”

통신사들이 자율주행 관련 통신인프라 구축에 나선 건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찾기 위해서다. 현재 자율주행 기술은 와이파이와 비슷한 형태인 ‘웨이브’와 통신 기반인 ‘C-V2X’로 나뉜다. 통신사들이 밀고 있는 건 C-V2X다. 자율주행 기술에서 통신이 주도권을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.

업계에서는 C-V2X 기반 인프라가 구축되면 자율주행 시대가 보다 빨리 올 수 있다고 예상한다. 현재 구글이나 제너럴모터스(GM), 포드, 현대자동차 등 제조사가 개발 또는 운행하고 있는 자율주행차는 레이더, 라이다 등 센서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. 센서 기반 자율주행 차량의 정확도는 높은 편이다.

문제는 비용이다. 센서 가격이 수천만원에 이른다. 센서를 여러 개 부착한 자율주행차 한 대 값은 수십억원으로 확 뛴다. 업계에서는 차 한 대 가격이 1억원 이하로 내려가야 자율주행차 대중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.

통신사 관계자는 “통신을 보완하면 센서를 줄이더라도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다”며 “그만큼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다”고 설명했다.

통신사들은 자율주행 주도권을 잡으려고 완성차 업체들과의 ‘짝짓기’에도 적극적이다. SK텔레콤은 현대자동차 등과 협력하고 있다. KT는 언맨드솔루션과 자율주행 셔틀을 개발했다. 현대모비스 등과도 자율주행 기술 관련 협업을 하고 있다. LG유플러스는 LG전자, LG이노텍 등 LG그룹 계열사들과의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.

기사본문보기 
출 처 : 한국경제-홍윤정기자  



게시판 이전/다음글
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.
다음글 환경·조경분야에 라이다 시대 열렸다!